[행정해석] 주15시간 이상과 미만을 반복하는 근로자의 평균임금 산정방법은 어떻게 될까요?

노무법인 디와이

소식 및 자료

노무법인디와이

  • 소식 및 자료
  • 판례 및 행정해석

Develop your value

판례 및 행정해석

[행정해석] 주15시간 이상과 미만을 반복하는 근로자의 평균임금 산정방법은 어떻게 될까요?

  • 작성자 : 관리자
  • 조회수 : 123
  • 2024.08.28

주15시간 이상과 미만을 반복하는 근로자의 평균임금 산정방법은 어떻게 될까요?


“평균임금”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. 근로자가 취업한 후 3개월 미만인 경우도 이에 준한다.

(근로기준법 제2조 제6호) 


평균임금은 이를 산정하여야 하는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 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 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하고, 

이에 따라 산출된 금액이 그 근로자의 통상임금보다 적으면 그 통상임금액을 평균임금으로 함.


1주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경우와 미만인 경우가 반복 되는 경우에는 퇴직일 기준으로 4주 단위씩 역산하여 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면 4주를 산입하여

그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 퇴직금 지급 대상에 해당되므로, 이 경우 평균임금은 상기 기준에 따라 퇴직일을 기준으로 역산하여 4주간을 평균하여 1주 소정근로시간이

15시간 이상인 기간만을 대상으로 하여 퇴직일 전 3개월 동안에 지급받은 임금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으로 산정하는 것이 타당할 것으로 판단됨(임금 68207-735, 2001.10.26.). 


(근로기준정책과-3818, 2021.11.2.)


caf527dc3bfdedc68ad4da43450ef12c_1724818208_6411.jpg
 

첨부파일 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