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행정해석] 청원경찰법의 적용을 받는 청원경찰이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을까요?

노무법인 디와이

소식 및 자료

노무법인디와이

  • 소식 및 자료
  • 판례 및 행정해석

Develop your value

판례 및 행정해석

[행정해석] 청원경찰법의 적용을 받는 청원경찰이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을까요?

  • 작성자 : 관리자
  • 조회수 : 189
  • 2024.08.20

청원경찰법의 적용을 받는 청원경찰이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을까요?


4. “노동조합”이라 함은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 근로조건의 유지ㆍ개선 기타 근로자의 경제적ㆍ사회적 지위의 향상을 도모함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단체 또는 그 연합단체를 말한다.

다만,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노동조합으로 보지 아니한다. (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조 제4호)


청원경찰법의 적용을 받는 청원경찰이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을까요?


근로자는 노조법 제5조에 의해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 가입할 수 있으나, 같은법 제2조 제4호에 의해 사용자 및 그의 이익을 대표하여 행동하는 근로자는 노동조합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정하고 있는바,

일방적으로 청원경찰법에 의한 청원경찰은 사업주를 대행하여 사업장내의 시설ㆍ재산의 보호 등 특별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, 이러한 성질의 업무는 노동조합 활동으로 인한 제약을 받아서는 안 될 특수성이 있어, 청원경찰은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는 자에 해당한다고 할 것입니다.


또한, 청원경찰법의 적용을 받고 있는 청원경찰의 복무에 관하여는 같은 법 제5조 제4항에 따라 공무원의 노동운동을 금지한 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이 준용되며,

청원경찰은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 노동조합의 가입이 허용되는 공무원에 준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 노동조합 가입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.


(노동조합과-615, 2008.4.11)


7ecf5a37b09d7b77c9f6bc6e6b6b06c8_1724125558_1452.jpg
 

첨부파일 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