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행정해석] 합병에 따라 상이한 연장근로수당 산정기준을 적용할 경우 근로기준법 제6조 위반에 해당할까요?

노무법인 디와이

소식 및 자료

노무법인디와이

  • 소식 및 자료
  • 판례 및 행정해석

Develop your value

판례 및 행정해석

[행정해석] 합병에 따라 상이한 연장근로수당 산정기준을 적용할 경우 근로기준법 제6조 위반에 해당할까요?

  • 작성자 : 관리자
  • 조회수 : 53
  • 2024.08.20

흡수합병에 따라 상이한 고정 연장근로수당 산정 기준을 적용할 경우근로기준법상 차별에 해당할까요?


B회사가 A회사를 흡수합병하면서 근로관계가 포괄적으로 승계되는 경우 근로자의 종전 근로계약상의 지위도 그대로 승계되는 것이므로, 별도의 정함이 없는 한 기존의 근로조건도 승계하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. 


이러한 근로관계의 승계가 이루어진 경우 종전 근로조건이 그대로 적용되고,이후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종전 취업규칙의 내용보다 근로조건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것은 그 효력이 없고,

합병 후 피합병회사 근로자들의 집단적인 의사결정 방법에 의한 동의를 얻은 취업규칙의 변경이나 그러한 근로자들이 속한 노동조합과 사이에 단체협약의 체결 등을 통하여 합병 후  

근로자들의 근로관계 내용을 단일화하기로 변경・조정하는 새로운 합의가 있으면, 그 새로운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이 유효하게 적용된다고 할 것입니다. (2001다18421, 2001.09.25)


따라서 달리 판단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A회사와 B회사 간 연장근로에 대한 임금 지급기준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「근로기준법」 제6조에서 금지하는 차별적 처우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됩니다.


(근로기준정책과-4206, 2021.12.10.)


7ecf5a37b09d7b77c9f6bc6e6b6b06c8_1724118309_7364.jpg
 

첨부파일 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