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행정해석] 학원에서 개인사업자로 등록하여 근로를 제공한 경우 퇴직금 지급 의무가 발생할까요?

노무법인 디와이

소식 및 자료

노무법인디와이

  • 소식 및 자료
  • 판례 및 행정해석

Develop your value

판례 및 행정해석

[행정해석] 학원에서 개인사업자로 등록하여 근로를 제공한 경우 퇴직금 지급 의무가 발생할까요?

  • 작성자 : 관리자
  • 조회수 : 101
  • 2024.08.05

학원에서 개인사업자로 등록하여 근로를 제공한 경우 퇴직금 지급 의무가 발생할까요? 


사용자는 계속근로년수 1년에 대하여 30일분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서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지급할 수 있는 제도를 설정하여야 한다.

다만, 근로년수가 1년미만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. (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8조 제1)


학원에서 개인사업자로 등록하고 근로를 제공한 경우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을까요?

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의 적용여부는 근로기준법 제2항 제1조에서 정의하는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판단되어야 할 것 입니다.

이 경우 근로자란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하며,

이는 계약의 형식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 종속되어 지휘・감독을 받으면서 

근로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임금을 지급받는 자를 말합니다.


따라서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수업내용・강의시간・시간표 등이 학원 측에 의하여 정하여지는지 여부, 

학원생들의 등록상황, 강의진행상황, 학생지도상황 및 담임관리 등에 대하여 학원 측의 구체적인 지시 여부,

출・퇴근시간의 준수여부, 승진여부 등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살펴 판단하여야 할 사항입니다.


(임금복지과‒1098, 2010.5.26.)


274f1ab27cd3693d40e8ca68c2a53a54_1722825490_6429.jpg
 


첨부파일 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