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행정해석] 사업 또는 사업장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, 상시 근로자 수는 어떻게 산정할까요?

노무법인 디와이

소식 및 자료

노무법인디와이

  • 소식 및 자료
  • 판례 및 행정해석

Develop your value

판례 및 행정해석

[행정해석] 사업 또는 사업장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, 상시 근로자 수는 어떻게 산정할까요?

  • 작성자 : 관리자
  • 조회수 : 405
  • 2024.08.01

학교법인 내 사무국의 상시 근로자 수 판단 시, 사무국을 독립적인 사업장으로 보고 사무국 소속 근로자 수 기준으로 해야 할까요,

법인 내 대학교, 고등학교, 유치원 사업장의 근로자 수를 포함해서 산정해야 할까요?


법 제11조제3항에 따른 “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수”는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법 적용 사유(휴업수당 지급, 근로시간 적용 등 법 또는 이 영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사유) 발생일 전

1개월(사업이 성립한 날부터 1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그 사업이 성립한 날 이후의 기간) 동안 사용한 근로자의 연인원을 같은 기간 중의 가동 일수로 나누어 산정한다. (근로기준법 시행령 제7조의2 제1항)


「근로기준법 시행령」 제7조의2 제1항에서 '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수'는 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

법 적용 사유 발생일 전 1개월 동안 사용한 근로자의 연인원을 같은 기간 중의 가동 일수로 나누어 산정한다고 규정하고 있고,

하나의 법인 내에서 여러 사업장이 있는 경우,각 사업장이 장소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,

조직, 인사, 재정 및 회계 등이 완전히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사업경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별개의 사업 또는 사업장으로 볼 수 있을 것이나,

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법인 전체를 하나의 사업으로 보아 상시 근로자 수를 산정해야 합니다.


(근로기준정책과-4444, 2021.12.23.)


453c6903228d91d4c448bcb11468b286_1722489961_9523.jpg
 


첨부파일 :